[기본 2019-06]
수도권.비수도권 간의 주택가격 격차 요인 분해에 관한 연구
본 연구는 Oaxaca decompostion을 통해, 수도권·비수도권 간 주택가격 격차를 설명하는 “예상 가능한 요인들(즉, 수도권·비수도권 간 관측된 특성 차이)”의 영향 정도와 “이들로는 설명될 수 없는 요인들”의 영향 수준을 분석하였다. 분석데이터로는 2010년~2017년 주택 유형별 ㎡당 실거래가를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특이점으로 수도권·비수도권 간 주택가격 격차에 대해 기존의 특성요인들로는 설명되지 않는 부분이 아파트·단독다가구주택·연립다세대주택별로 각각 16.86%, 22.92%, 28.01% 만큼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향후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 주택가격 격차를 완화할 목적의 정책 수립을 위해서는 기존의 특성요인들로는 설명되지 않는 부분에 대하여 정책적 타겟을 정밀하게 세워나가야 할 필요성을 드러낸다고 할 수 있다. 이에 기반했을 때, 정책적 접근 정도도 주택 유형별로 모두 달라야 할 것이다. 서로 다른 주택 유형에 대해 일괄적인 정책을 수행하기보다는 각 주택 유형별로 조금 더 특성화된 정책을 발굴하여 수행하는 것이 수도권·비수도권 간 주택가격 격차 완화에 효율적일 수 있을 것이다.
허원제 외 1인
2020-01
6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