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 2020-40]
건축물 시가표준액 산정체계 개선방안 연구
건축물 시가표준액 현실화 문제가 부각되는 상황 하에서, 본 연구는 건축물 시가표준액 산정체계에 관련한 제반 문제점을 검토하여, 최대한 현실적인 개선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건축물의 시가표준액 현실화는 일체 건물의 현실화와는 다르며, 토지와 건축물을 별개의 부동산으로 보고 각각 분리평가하여 등재하기 때문에, 토지 공시지가의 영향을 받게 된다는 제약이 있으며, 산정주체의 복잡성, 산정방식의 현황과의 괴리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을 포함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건축물 현황과 해외사례, 국토부 공시가격 산정체계 검토를 통하여, 현행 산정방식을 집합건물과 일반건물로 나누는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집합건물은 시장접근법을 적용하여 표준-개별 산정방식을 적용하고, 일반건물은 원가법을 적용하되, 용도별로 검토하고, 원가성 반영 요소를 확대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보다 장기적으로는 일반건물도 표준-개별 방식을 적용하며, 토지 시가표준액에 대하여 건부감가 문제를 반영하여야 건축물과 토지 일체 가격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김보영 외 1인
2020-12
6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