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 2017-12]
관광세 도입 방안과 세수효과분석 연구
최근 관광객들이 관광지에서 유발하는 사회적 비용으로 인해 일부 지방자치단체의 부담이 증가하고 있으며, 고부가가치 관광상품에 대한 관광객들의 요구 역시 늘어나고 있다. 본 연구는 관광자원의 보존과 고부가가치 관광상품 개발에 필요한 재원을 확충하기 위해 , 그 도입의 중요성이 점차 커지고 있는 관광세 부과의 이론적 근거와 필요성을 살펴보고, 이를 근거로 법제화 방안을 도출한 후, 관광세 도입의 지방재정확충 효과를 분석한다. 본 연구의 정책제언은 다음과 같다: (1) 관광세 신설의 필요성이 인정되며, (2) 법제화 방안은 '지역자원시설세 과세대상의 확대' 와 '독립세로서의 신설'이 적절하다. 마지막으로 (3) 관광세 부과대상은 숙박행위로 하는 것이 조세저항을 줄이면서, 지방재정을 가장 효율적으로 확충할 수 있는 방안이다.
김미림
2017-07
34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