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 2016-23]
지방세 법령해석의 명확화를 위한 불복사례 분석 및 시사점
본 연구는 서울특별시 및 자치구 지방세와 관련된 최근 5년간 심판청구 540건 및 소송사건 380건을 분석하여 지방세 법령해석의 명확화를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첫째, 입법기술상 결함과 관련성 있는 조문으로서 취득시기에 관한 규정과 중과세와 감면이 동시에 적용되는 경우 적용세율에 관한 규정을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둘째, 입법기술상 결함은 없지만 법령해석의 차이가 자주 발생하는 쟁점들을 구체적으로 규정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재건축재개발 과정에서 재산세 납세의무자 또는 취득시기, 계약해제 후 소유권 회복시 취득세 과세여부, 휴업 중 시설이거나 임차인이 무단으로 용도변경하는 경우 고급오락장 해당 여부, 감면규정 적용시 특정 용도의 사용여부, 주택의 부속토지만 소유하는 경우 1주택의 판정 등이 있다. 셋째, 지방세 법령개정과 법령해석시 전문가 집단 활용방안과 지방소득세의 과세표준에 관한 불필요한 심판청구 방지책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마정화
2016-12
1422